티스토리 뷰

  • 장점: 비율 파악 및 비교
  • Tips:
    • 최소화:
      • 파이 조각 수
      • 문자 정보: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 A,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B) ->(동작구 A, 마포구 B)
    • 파이 조각은 큰 순서로

1. 데이터

인천광역시_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

 

Column dtype
시군구별 char
유소년인구(명) int
유소년인구(퍼센트) float
생산연령인구(명) int
생산연령인구(퍼센트) float
고령인구(명) int
고령인구(퍼센트) float
학령인구(초등학교 명) int
학령인구(중학교 명) int
학령인구(고등학교 명) int
학령인구(대학교 명) int

인천광역시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

 

 

2. 질문

  1. 시군구별 유소년 인구 비율은 어떨까?
  2. 시군구별 생산연령 인구와 고령 인구 비율은 어떨까?
  3. 인천에서 가장 적은 인구를 가진 시군구는 어디일까?
  4. 시군구별 인구 비율은 고르게 분포되어 있을까?

 

2.1. 시군구별 유소년 비율

  • 유소년은 서구>남동구>연수구>부평구>미추홀구>계양구>중구 순으로 많다.
  • 서구, 남동구, 연수구의 유소년 인구를 합치면 58.48%로 대부분의 유소년은 3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 세 구에는 각각 청라, 논현(구월), 송도 신도시가 위치하고 있다.
  • 비율 계산을 위해 [퀵 테이블 계산] - [구성 비율] 작업을 실시했다.

2.2. 시군구별 생산연령 인구와 고령 인구 비율

  • 한 번에 여러 차트를 동시에 보여주기 위해서는
    1. 하나의 차트를 만든다
    2. 레이블을 드래그 앤 드롭 해 추가한다
  • 생산연령 인구와 고령 인구 수가 다르므로 차트의 크기가 다르다
    • 따라서 비율로 변환하지 않았다. 변경한다면 차트의 크기는 같아질 것!
  • 생산가능인구는 서구>남동구>부평구>연수구>미추홀구 순서로 유소년 인구와 유사했지만 연수구보다 부평구의 생산 가능 인구가 많았다.
  • 노인 인구는 서구>남동구>부평구>연수구>미추홀구 순으로 인구 수에 따라 정비례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단, 유소년, 생산 가능 인구 대비 강화군, 옹진군의 비율이 크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